국립서울현충원11 현충원 수양벗꽃(2022.04.10) 갑자기 기온이 여름같이 오르니 꽃들이 난리부루스를 춘다. 아파트 여기저기에 순서도 없이 락일락, 명자나무, 동백, 황매까지 피었다. 나도 어쩌면 내일 비바람에 다 날아갈 것같은 꽃을 보려나섰다. 가까이 있는 국립 서울현충원 수양벗꽃을 올해도 꼭 봐야지. 베트남참전유공전우회의 위령비 If you remain in me and my words remain in you, ask whatever you wish, and it will be given you. 너희가 내 안에 있고 내 말이 너희 안에 있으면 무엇이든지 원하는 대로 구하라 그리하면 이루어지리라! 요한복음 15장 7절 국립서울현충원 사당통문으로 들어와 증앙으로 쭉내려오다 평지에 이르면 현충천을 만난다. 정말 꽃의 천국이다. 이 봄을 다 보는 듯하다... 2022. 4. 12. 현충원 외각을 한바퀴 돌다(2021.12.04) 오후에 부지런을 떨며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고 바로 집을 나선다. 오늘은 동작동 서울현충원 외각을 한바퀴 돌 예정이다. 낙옆이 다 떨어저 외각의 풍경을 기대하며 사당동종합체육관방면으로 나아간다. (동작 16번 종점) 오늘의 코스 : 사당통문- 동작통문 - 동문 - 정문 - 비개통문 - 흑석통문-(달마사, 동작대) - 상도통문 - 학수체육관 - 집. 달마사[ 達摩寺 ] 종파 대한불교조계종, 창건시기 1931년, 창건자 유심 스님,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서달로 50-26 (흑석동 산 60-29)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인 조계사의 말사이다. 1931년 구성당 유심 스님이 창건하고, 만공 큰스님이 주석하여 근대불교의 장을 열었던 사찰로, 서달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다. 해방과 함께 요사채, 대웅전을 신축하였고.. 2021. 12. 4. 김영삼대통령 묘소(2021.09.02) 김영삼 대통령 묘소 김영삼 대통령 묘역의 면적은 480m²로, 평생을 조국의 민주화에 몸 바친 김영삼 대통령은 제14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최초의 문민정부를 출범시켰으며, 공직자 재산 공개법, 금융실명제 등 강력한 개혁 정책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정치·경제 민주화를 실현하였다. 김영삼 대통령은 2015년 11월 22일 서울에서 서거하였으며, 국가장으로 11월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김영삼(金泳三)대통령 대한민국 전 대통령(제14대 대통령)으로, 취임 이후 자신의 정부를 최초의 '문민정부'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개혁에 착수했다. 그는 하나회 척결,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수수 폭로 및 구속, 조선총독부 철거, 금융실명제 실시 등 핵심적인 개혁을 통해 국민들의 높은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2021. 9. 11. 김대중대통령 묘소(2021.08.28) 모처럼 좋은 날씨에 사당통문을 통해 국립현충원으로 들어가면 제1장군묘역 아래 제일 먼저 도달할 수 있는 곳이 김대중대통령묘소이다. 김대중 대통령 묘소 김대중 대통령 묘역은 514m²로, '행동하는 양심'의 표상인 김대중 대통령은 여야 간 수평적 정권 교체를 이루고 1998년 2월 25일 제 15대 대통령을 취임하였다. 2000년 6월 남북 정상회담을 끌어내고, 같은 해 12월 민주화와 인권 신장 및 평화를 증진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 김대중 대통령은 2009년 8월 18일 서울에서 서거하였으며, 국장으로 8월 23일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영부인 이희호 여사 1922년 9월 21일 서울에서 출생한 이희호 여사는 우리나라 여성의 권익 신장을 위해 노력하였고, 1962년 김대중 대.. 2021. 9. 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