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활동92

규장각 금요강좌 제4강 <이재난고> (2023.10.13) 수강생 여러분께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관악구 학관 협력 사업으로 열리고 있는 규장각 금요시민강좌 제31기 '한국인의 일기' 강의 안내메일입니다. 이전 안내 메일에서 강연자 선생님 소개의 오류가 확인되어 다시 안내해 드립니다. 혼란을 야기해드려 죄송합니다. 이번주 금요일(10월 13일) 14:00-16:00에 이루어지는 제4강 강의 제목은 ' : 일기를 쓰는 이유' 입니다. 기록벽이 있던 황윤석(1729-1791)은 일기 50책을 남겼습니다. 현전하는 조선시대 일기 중 가장 방대한 양입니다. 그런데, 는 사대부들의 여느 생활일기와는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집을 떠나 객지에 있을 때만 일기를 썼다는 점에서 그러합니다. 황윤석에게 일기는 일종의 견문록인 셈입니다. 이 강의에서는 의 특징적인 구성을 통해 조.. 2023. 10. 13.
전통문화지도사 교육(상설전시관3:한국인의 일생)(2023.10.12) 2023년 10월 12일(목) 오늘은 매주 목요일 13:30 ~ 16:30 국립민속 박물관 대강당에서 제18기 전통문화지도사 양성교육이 있다. 이번 교육은 민속박물관 3전시실 : 한국인의 일생으로 강사님은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이정효 님이다. 오전에 현장교육일정으로 09:50~11:40 창덕궁(해설 : 김미숙)을 마치고 점심식사후 민속박물관의 야외 전시장 약속다당에 들러서 커피한잔을 마시고 넉넉하게 대강당으로 입실한다. 昔往日(석왕일) 지난날을 이까워하다. 한장석(韓章錫, 1832-1894) 少時多明日 소시다명일 젊을 때는 내일이 많았는데 老去多昨日 노거다작일 늙어갈수록 어제가 많아지네. 明日摠成昨 명일총성작 내일이 모두 다 어제가 되니 今日卽瞚一 금일즉순일 오늘은 바로 한 순간이네. --미산집(眉山.. 2023. 10. 12.
전통문화지도사 교육(한국문화관광정책)(2023.10.05) 10월 5일 제6강 한국의 문화 관광정책 및 제도 강사 : 박광무 전 공무원(한국관광연구원 원장) 1954년 경북 울진 출생. 호는 동천. 행정학박사. 성균관대학교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1986년 행정고등고시에 합격,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국장을 역임하였으며 이어령 초대문화부장관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기획연수부장,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운영단장,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정책관리실장 및 단장직무대리 등 문화정책국, 문화산업국, 관광국, 종무실, 기획관리실, 공보관실, 해외공보관을 비롯한 문화부의 중요부서를 두루 거쳤다. 17대 대통령직인수위 사회문화분과 전문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수석전문위원으로 있다. 88서울올림픽 당시 올림픽조직위원회 기획조정실에서 .. 2023. 10. 5.
규장각 금요시민강좌 31기 개강(2023.09.15) 규장각 금요시민강좌 31기 신청기간 2023.08.18 - 2023.09.07 교육일 2023.09.15 - 2023.12.15 신청인원 120명 금액 20,000 원 신청기간에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참조 http://kyu.snu.ac.kr/class/class-detail/ 수강신청 방법  수강신청 방법 ▪ 이번 학기도 규장각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합니다. ▪ 팩스, 이메일, 방문 접수 등은 불가능하며, 규장각 홈페이지(https://kyu.snu.ac.kr/) 접속 후 ‘교육 → 금요시민강좌 → 금요시민강좌 안내 → 신청하기’를 찾아 신청서 내용을 직접 입력하셔야 합니다. ▪ 수강 신청 시, 이메일 아이디와 핸드폰 번호를 정확하게 기입해 주십시오.  유의 사항 ▪ 이번 학기도 대면 강의로 .. 2023.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