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국내여행

화산 용주사를 다녀오다.(2020.06.05)

by 도화유수 2020. 6. 5.

 

 

화산 용주사 대웅보전

 

 

용주사[ 龍珠寺 ]

경기도 화성시 태안읍 송산리 화산(花山)에 있는 조선후기 현륭원의 능사로 창건된 사찰.

건립시기·연도 : 1790년(정조 14)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 ,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188

내용 :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이다. 854년(문성왕 16)에 창건하여 952년(광종 3)에 소실된 갈양사(葛陽寺)의 옛터에 창건된 사찰이다.

1790년(정조 14)에 사일(獅馹)이 팔도 도화주(八道都化主)가 되어 철학(哲學) 등과 함께 팔도 관민의 시전(施錢) 8만 7000여 냥을 거두어 갈양사 옛터에 145칸의 사찰을 창건하였다. 이 절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인 현륭원(顯隆園)에 명복을 빌어 주는 능사(陵寺)로 창건되었다. 창건과 동시에 이 절은 전국 5규정소(五糾正所)의 하나가 되어 승풍(僧風)을 규정하였다. 그 뒤 1900년에 용해(龍海)가 중수하였고, 1911년에는 30본산의 하나가 되어 수원·안성·남양·죽산·진위·음죽·용인·고양·시흥 등에 있는 49개 사찰을 관장하였다.

1931년에 강대련(姜大蓮)이 중수하였고, 1955년 사찰 정화 뒤에 조계종 제2교구 본사가 되었다. 같은 해에 관응(觀應)이 불교 전문강원을 개설하였으며, 1965년 대웅보전을 중수하였다. 1966년 주지 희섭(喜燮)이 동국역경원(東國譯經院)의 역장(譯場)을 두었고, 1969년 전강(田岡)이 중앙선원(中央禪院)을 설립하여 1975년 지장전을 중수하고, 1977년 일주문을 세웠으며, 1981년 3층의 부모은중경탑을 세웠다. 1985년 불음각(佛音閣), 1986년 중앙선원 건물을 지었다. 1987년 대웅보전을 중수하고, 1988년 호성각을 지었다. 1993년 천불전을 짓고 만수리실을 개축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1790년에 건립한 대웅보전(大雄寶殿)이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장전(地藏殿), 시방칠등각(十方七燈閣), 범종각, 법고각(法鼓閣), 봉향각(奉香閣)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6호인 천보루(天保樓), 나유타료(那由他寮), 만수리실(曼殊利室), 삼문각(三門閣), 일주문, 수각(水閣), 동별당(東別堂) 등이 있다. 또 문화재로는 국보 제120호인 용주사 동종과 보물 제1754호인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佛說大報父母恩重經版),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호인 금동향로, 제12호인 청동향로, 제13호인 용주사 상량문, 제14호인 전적수사본(典籍手寫本), 제15호인 용주사 병풍, 제16호인 용주사 대웅전후불탱화 등이 있다.

 

 

 

 

지난 5우월30일 관악산아니 삼성산 삼막사에 들렀다가 삼막사가 용주사의 말사라는 것을 알았다. 꼭 가보고싶었다.

그래서 융건릉과 같이 돌아볼 계획을 세우고 출발했으나. 코로나19사태로 융건릉은 입장이 되지 않았다. 인근에 있는 용주사를 찾았다.

 

 

대웅보전이다. 여기서 또 대웅전과 대웅보전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대웅전과 대웅보전의 차이

대웅전(大雄殿) 현판은 석가모니부처님과 좌우협시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세 분을 모실 때 사용하고, 대웅보전(大雄寶殿)은 석가모니부처님과 좌우에 아미타부처님과 약사여래부처님 세 분을 모실 때 사용됩니다.

대웅전(大雄殿)은 석가모니부처님을 봉안한 전각으로, '대웅'이란 말의 뜻은 인도의 옛말 마하비라를 한역한 것으로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부처님을 위대한 영웅, 즉 대웅(大雄)이라 한데서 유래한 것인데, 석가모니부처님은 일반인이 가질 수 없는 큰 힘이 있어 마군의 온갖 장애를 극복하고 부처님이 되었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따라서, 대웅전(大雄殿)은 위대한 깨달음을 구한 큰 영웅인 석가모니부처님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입니다.

대웅전은 석가모니부처님과 그 분의 협시보살인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이 모셔져 있습니다. 석가모니부처님의 수인(手印: 손 모양)은 대체로 오른손을 무릎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는 항마촉지인(降摩觸地印)으로 마군을 항복 받았던 모습을 나타내나, 그 기능과 역할에 따라 설법인 · 여원인 · 시무외인 등 다른 수인의 모습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가사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우견편단식과 양어깨를 덮는 통견식이 있습니다.

 

석가모니부처님의 왼쪽에 모셔진 분이 문수보살로 부처님의 지혜(智慧)를 상징하는데 여의주나 칼 또는 청련화(靑蓮花)를 들거나 청사자를 탄 모습으로 조성되며, 또 보현보살은 오른쪽에서 부처님을 모시며 부처님의 행원(行願)을 상징하며, 흔히 연꽃(연꽃 위에 경책을 얹기도 함)을 들고 코끼리를 탄 모습으로 나타냅니다. 대웅전은 석가모니부처님을 모신 법당이므로 석가모니후불탱화를 봉안한다.

 

석가모니부처님 오른쪽에 서방 극락세계의 교주이며, 조상의 극락왕생과 내생의 행복이 직결되는 아미타부처님왼쪽에 동방 유리광세계의 교주이며, 고통받는 병자나 가난한 사람을 구원하는 자비의 약사여래부처님의 삼세불을 모시는 경우 대웅전의 격을 높여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고 부릅니다. 삼세불을 모신 대웅보전은 삼세불의 탱화가 봉안됩니다.

 

 

점심식사와 구경거리를 찾아 대부도를 향한다. 시화방조제

 

 

 

안산공단을 거쳐 시화방조제를 지나 인근의 [대부도 맛집]에서 점심식사 

 

 

영흥도 노가리 해수욕장
영흥대교(영흥도-선재도)
선재대교(대부도-선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