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충원과 동작구

광복절날 최재형선생 참배(2023.08.15)

by 도화유수 2023. 8. 15.

2023년 8월 14일 국립현충원에 안정된 최재형 선생 묘
현충문과 태극기
현충문
현충탑

오늘은 제78주년 광복절이다. 오후의 더위는 정말 굉장하다. 어제 뉴스에서 최재형 선생의 현충원안장식을 보고 국립현충원을 다녀오리라 마음을 먹었다. 오늘 오전에 국립서울 현충원을 다녀올까하다가 시기를 놓쳐 점심식사후  오후3시가 넘어 출발했다. 제일 더울 때이다. 사당동에서 현충원으로 가는데 벌써 땀이 헝건하다.

 

장군묘역을 지나가려는데 육영수 여사 49주기 추도식 간판 철거 차량이 나가고 있다. 그래서 잠시 묘소에 올라 추모를 하고 간다.

 

임시정부 요인묘역을 먼저 들러 본다.

독립유공자묘역으로 향한다.

 

충열대

충열대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봉안되어 있는 애국지사, 임시정부요인, 무후선열들의 열을 추모하는 제단이다. 1971년 11월 17일 '후손 없는 선열의 제단 건립위원회'가 국가보훈처의 지원을 받아 건립하였다. 독립유공자 묘역, 임시정부요인 묘역, 무후선열제단 등에는 대한제국 시절의 의병장을 비롯하여 3.1 운동 민족대표, 항일무장 투쟁이나 계몽운동을 통하여 조국 광복을 위해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가 모셔져 있다.

충열대 는 높이 5.13m, 가로 4.84m, 폭 1.5m의 화강석에 용의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그 좌우측 전방에는 높이 2.12m의 마신상이 세워져 있다. 대의 앞쪽 상단에는 박정희 대통령이 휘호한 '민족의 얼'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뒤쪽 상단에는 이은상 선생이 지은 헌시가 아로 새겨져 있다. 그리고 제단 앞에는 청동향로가 놓여 있다.

조국과 겨레는 나의 사랑 나의 영광 나의 힘 나의 생명

스를 위해 짧은 일생을 바쳐 그와 함께 영원히 살리라

무후선열제단

더위 속에 많이 돌다가 겨우 최재형 선생의 묘를 찾아 참배한다.

최재형 선생 현충원 안장식

순국 103년 만에 현충원에 부인과 합장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제78주년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서 거행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과 최 엘레나 여사의 부부 합동안장식에서 국방부 의장대가 영현 감쌌던 태극기를 유가족에게 전달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로 불린 최재형 선생과 부인 최 엘레나 페트로브나 여사의 넋이 최 선생 순국 103년 만에 고국에서 해후했다.

국가보훈부는 14일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108번 자리에서 '백 년만의 해후, 꿈에 그리던 조국 대한민국'이라는 슬로건 아래 최 선생 부부 합장식을 거행했다.

최재형 선생의 순국장소로 추정되는 러시아 우수리스크의 흙과 70여년간 키르기스스탄 공동묘지에 묻혀 있던 부인 최 엘레나 여사의 유해가 마침내 고국의 묘에 함께 묻힌 것.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은 추모사에서 "최재형 선생님과 같이 일신을 독립운동에 바치시고 그 곁에서 내조하며 독립운동을 함께하신 분들이 있어 광복을 쟁취할 수 있었고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이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9세 때 부모를 따라 시베리아 연해주로 이주한 최재형 선생은 사업가로 자수성가해 축적한 부를 조국독립과 수십만 시베리아 이주 동포들을 위해 사용했다.

러일전쟁 이후 국외 항일조직인 동의회(同義會)를 조직하고 총재가 되어 항일의병투쟁을 전개했으며, 안중근 의사의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또 대동공보(大東共報)를 인수해 재창간하고 애국심을 고취하는 기사를 게재했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무총장으로 선출되는 등 활발한 독립운동과 한인사회에 대한 기여로 '시베리아 동포의 대은인'으로 추앙받았다.

부인 최 엘레나 여사는 1897년 최재형 선생과 결혼해 8명의 자녀를 낳았고, 안중근 의사 순국 이후엔 그의 가족을 보살핀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형 선생 순국 이후에는 자녀들과 힘겨운 생활을 이어가다 1952년 사망해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공동묘지에 안장됐다.

본래 최재형 선생의 묘는 1970년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108번에 조성됐으나, 이른바 '가짜 유족 사건'으로 멸실돼 지금껏 빈터로 남아있었다.

정부는 1962년 최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으며, 후손을 자처하는 이의 요청에 따라 1970년 서울 현충원에 가묘를 건립했다.

그런데 1990년 한국과 러시아가 수교한 이후 최 선생의 유족이 고국을 방문하면서 후손을 자처했던 사람이 실은 유족연금을 노린 가짜였음이 탄로났다.

이후 서울 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108호에 있던 최 지사의 가묘는 2006∼2009년 사이 멸실됐으나 유족은 아무런 통보도 받지 못했다.

유족들은 멸실된 묘의 복원을 희망했으나, 최 선생이 1920년 4월 일본군에 의해 순국한 이후 유해를 찾을 수 없어 유골이나 시신을 안장하도록 규정한 국립묘지법에 따라 묘를 복원할 수 없었다.

이에 보훈부는 유골이나 시신이 없는 순국선열의 위패와 배우자의 유골을 함께 묘에 합장할 수 있도록 국립묘지법 개정을 추진해 지난달 시행됐다.

합장식에는 최 선생의 유족들과 박민식 장관, 이종찬 광복회 회장,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국가유공자 제3묘역을 지나서 현충문과 현충탑을 참배하고 정무느오 나와서 752번 버스를 타고 집으로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