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국내여행

무더위 힐링캠프3 봉정사(2023.08.03)

by 도화유수 2023. 8. 6.

세게문화유산 봉정사비

 

봉정사 대웅전 국보311
봉정사 극락전 국보15호
봉정사앞 까페 아느칸에서
중앙선 영주부근의 차창밖 전경

 

8월 3일(목) 오후일정 :  달기약수탕  → 천등산 봉정사 → 안동역 → 청량리역

달기약수탕에서 능이닭백숙을 맛있게 먹고 늑늑하게 13:50경 봉정사를 향해 달려간다. 15:10경에 도착

 

천등산 봉정사[天燈山 鳳停寺]

신라 문무왕 12년(672) 의상(義湘)이 부석사에서 종이로 봉(鳳)을 만들어 날렸는데, 이 종이봉이 앉은 곳에 절을 짓고 봉정사라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인 극락전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건립된 대웅전, 화엄강당, 고금당 등이 있어 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밖에도 고려 시대에 건립된 삼층석탑과 덕휘루, 요사채 등의 건물이 있으며 영산암, 지조암 등의 부속암자가 딸려 있다.

2018년 6월 30일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봉정사를 포함한 7개 사찰이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소 재 지 :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태장리)

◈ 홈페이지 : www.bongjeongsa.org

◈ 지정현황 : 국보 제15호(극락전), 국보 제311호(대웅전), 보물 제449호(고금당),

보물 제448호(화엄강당) 등

◈ 문 의 : (054) 853-4181                                                          [네이버 지식백과] 봉정사

 

봉정사 대웅전(국보 제311호)

조선 초기의 가식 없는 수법, 견실한 공법을 그대로 엿볼 수 있는 건축물로 다포집 계통의 대표적 건축물이다.

단층 팔작지붕 와가 다포집 대웅전은 건립 연대는 자세한 사료가 없어서 정확한 연대를 알지 못하나 건물의 일부를 해체하여 수리할 때 일부분의 묵서명이 발견되어 추정이 가능하다.

이 대웅전은 현존하는 다포계 건물로는 최고의 건물이다. 대웅전은 조선시대 초기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건물이다. 자연석의 막돌허튼층 쌓기의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건물이다. 겹치마 팔작지붕에 다포양식을 한 이 건물은 산 중턱에 세워진 건물이면서도 평야를 끼고 있는 지역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원기둥 위에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돌리고 그 위에 공포를 올려 놓았으며, 주간이 넓고 오포작(五包作)이라서 포벽(包壁)이 넓게 보이는 반면 기둥은 짧게 보여 매우 안정감을 준다.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

기둥의 배흘림과 내부 가구의 간결한 처리 기법이 뛰어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다.

이 건물은 682년(神文王 2) 의상국사(義湘國師)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봉정사 극락전이다. 경내에는 고려시대에 세워진 3층 석탑과 고려 말 조선 초에 건립된 대웅전, 조선초에 만들어진 화엄강당 등이 있다. 1972년에 실시한 보수공사 때에 밝혀진 내용에 의하면 건립후 첫 수리는 1363년(恭愍王 12)에 2차에 걸친 수리가 있었고 그 후 1635년(仁祖 3)에 중수하였다.

원래는 대장전이라 불렀으나 뒤에 극락전이라 개칭한 것 같은데 현존하는 우리나라 목조건축 중 최고의 건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 주심포 건물로 고려시대의 건물이지만, 전대인 통일신라시대의 건축양식을 내포하고 있어 더욱 주목되고 있다.

잡석의 낮은 기단위에 세워졌으며 부드러운 배흘림을 가진 기둥머리에 창방을 기둥 위에는 1출목의 공포를 올렸다. 공포에서 제공의 모양은 첨차와 같은 형태인데 초기형태로 생각되어질 만하다. 가구는 대들보 위에는 앞뒤에 일종의 복화반을 두고 그 뒤에 놓인 포작으로 중종보를 받는 이중량구조로서 중종보는 복화 반형의 포대공위에서 중도리를 받는다. 중종보 중앙에는 키가 낮은 복화반형의 포대공이 있어 마루도리를 지탱하고 마루도리는 그 앞뒤에서 소슬합장이 이를 지탱한다. 이 소슬합장은 타건물에서와 같이 짧은 것이 나니고 마루도리와 중도리 상에서 직선재로 되나 그 밑으로 내려오면 점차 내반되어 차례로 도리목을 받쳐 내려가는 특수한 양식이다.

불당의 내부는 중앙 후편에 두 개의 기둥을 세워 불단벽을 만들고 그 앞에 불단을 마련하였으며 불단 위에는 높은 우주를 가진 다포집모양의 보개를 설치하였다.

공포 특히 주두와 소로의 굽이 형태와 덧보나 마루도리를 받치는 일종의 복화반형으로 된 대공형태 등은 주목할 만하다. 즉 주두나 소로의 굽은 그 단면이 내반된 곡선으로 되었고 굽받침이 없는 점이며 이 형태는 부석사 무량수전의 그것보다 앞서는 것이며 복화반형으로 된 대공도 주심포집에서는 보지 못하는 것으로 삼국시대에 있었다고 생각되는 인자형 소슬대공의 변화형으로서 고식이라 생각된다.

이렇게 보면 이 건물은 그 양식이 주심포집이라 하나 통일신라시기의 건축양식을 어느정도 지키면서 새롭게 중창된 건축이 아닐까 생각되는 것이다.

정말 무척 더운 날씨였다. 봉정사 대웅전에서 나와 바로옆 숲속은 골바람이 너무 시원해서 쉬다간다.

봉정사 입구의 한 카페에서 쉬면서 귀성열차시간과 저녁식사를 계획한다. 그러나 찾아간 막국수집은 아직영업시간이 아니고 안동역 부근에서 식당을 찾으니 안동터미널내에 식당이 있다.

봉정사앞 카페 아느칸
안동터미널 안 식당
안동터미널

 

서울로 돌아가는 길 차창의 경치가 아주 좋았다.